4월 BSI(88.0), 한달 만에 80대로 반락- 종합경기 전망 BSI(88.0), 회복 추세 꺾이며 80대로 재진입* ’25.1월(84.6)부터 3월(90.8)까지 상승 후 4월(88.0) 다시 80대로 하락* 3년 1개월 연속 기준선(100) 하회하며 역대 최장기 부진 지속- [업종별] 제조업(92.0)·비제조업(84.2) 4개월 연속 동반 부진* 비
한경협, 민간 최초 ‘AI위원회’ 출범… AI강국 도약을 위한 첫걸음- [위원회 소개] 위원장 GS 허태수 회장, 삼성 네이버 등 위원 총 24명, 5개 분과* 분과 구성 : 정책, 기술개발 확산, 인재 인프라, 거버넌스 표준, 미래성장- 허태수 위원장, 산업계 학계 정책 당국과 협력해 실질적 대안 모색할 것* 향후 계획 : 애로 수렴 과
한경협, 석화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지원 강화 요청< 석화산업 위기극복 긴급과제 건의 >- [주요 과제] 원가부담 과세 완화, 경영환경 개선, 고부가 저탄소 전환 지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주1) 내 전기료 감면, 양도차익 과세이연 기간 연장 등 신속 사업재편 환경 조성(기업결합 금지 예외 조치 등) 친환경기술의 국가전략기술 상
소비자 10명 중 7명,‘ESG 우수기업 제품 구매에 돈 더 낸다’- 소비자 70% 이상 'ESG 우수기업에 추가 비용 지불 의사 있어' -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ESG 잘하는 기업은 ‘환경보호에 적극적인 기업(35%)’ - 소비자 절반(47%)은 ESG 활동에 ‘적극적 참여’, 60대 여성이 가장 높아- 소비자 64%, ‘불매운동 참여 경험 있다’ 소비자
국민 경제와 공익을 위한 기업 활동, 세제지원으로 뒷받침해야< 한경협,「2025년 세법개정 의견」기재부 제출 >- 주요 과제로 ‘기업 자본의 사회 선순환주1) 유도 위한 세정 과제 7선’ 제시※ 경제·사회 환류 활동 관련 주요 기업 세제 애로 사례 [ 투자] 임시투자세액공제주2) 연장, 대기업만 제외 → 투자계획 차질 우려[ 배당] 배당해도
상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에 대한 논평 경제계의 절박한 호소에도 이사충실의무 확대를 담은 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이사충실의무 대상이 주주로 확대되면, 경영판단 과정에서 불이익을 주장하는 주주들의 소송 남발로 인수합병, 대규모투자 등이 차질을 빚어 기업의 장기적 발전이 저해될 수밖에 없다. 또한, 행동주의
韓, 제조업 중심 수출주도 성장 한계, 서비스산업 육성으로 극복해야< 제1차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위원회 >- 국회 ‘한국경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모임’ 초청, 서비스업 육성 과제 논의- 보호무역 확산으로 수출주도 성장 전략 한계→ 서비스산업이 대안- 규제개선ㆍ인력양성 긴요함→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조속 제정 촉구- 김상현 위원장, 위원회